책소개
기원전 만 년부터 서기 400년까지 이스라엘과 교회의 역사를 중심으로 정리한 성서연대표
성서의 기원과 배경을 이루는 기원전 만 년부터 성서가 경전으로 자리잡는 서기 400년까지, 이스라엘과 그리스도교의 역사를 중심으로 주변 민족들의 역사까지 한눈에 파악하도록 구성된 국내 최초의 본격적인 성서연대표이다. 성서의 역사를 3편 6장 35항으로 나누어 기술하면서, 각 항마다 해당 시기의 고고학적 시대구분, 역사적 흐름 해설, 주요 예술작품 도판, 관련지도, 연대표를 함께 실어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.
특히 연대표에는 이스라엘과 그리스도교의 역사에 영향을 미친 4개 지역(이집트/ 이스라엘/ 시리아,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, 그리스, 로마)의 역사를 병행 구성하였다.
아울러 해당시기의 한국 및 중국 역사를 병기하여 역사의 흐름을 상호 연관시켜 거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.
목차
책을 펴내면서·5
개정판을 펴내면서·6
감수의 글·7
Ⅰ편 창조세계와 역사를 통한 하느님 말씀의 계시
1. 인류 문명의 발생과 확산 (기원전 10000~2000) : 한처음 이야기의 배경·13
1. 사람들의 모둠살이 (기원전 10000~5500)·14
2. 성읍의 발생 (기원전 5500~3300)·16
3. 왕정의 형성 (기원전 3300~2700)·18
4. 제국의 건설 (기원전 2700~2200)·20
5. 근동 일대의 혼란과 새로운 시작 (기원전 2200~2000)·22
Ⅱ편 이스라엘 민족을 통한 하느님 말씀의 계시
1. 이스라엘 백성의 출현과 민족 형성 (기원전 2000~1000) : 구약성경의 기원 시기·25
6. 다시 꽃피는 문명 (기원전 2000~1800)·26
7. 고바빌로니아 제국의 성립과 붕괴 (기원전 1800~1550)·28
8. 이집트 제국의 등장 (기원전 1550~1400)·30
9. 제국들이 교류하는 국제화시대 (기원전 1400~1200)·32
10. 이스라엘 민족의 가나안 정착 (판관시대: 기원전 1200~1000)·34
2. 이스라엘의 왕정 시대 (기원전 1000~587/6) : 구약성경의 전승과 형성 시기·37
11.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건설 (기원전 1000~922)·38
12. 통일 이스라엘의 남북 분열 (기원전 922~900)·40
13. 북이스라엘의 번영 속에 떠오르는 예언자 (기원전 900~850)·42
14. 쿠데타로 허약해진 북이스라엘과 유다 (기원전 850~800)·44
15. 번영의 그늘에서 외치는 문서 예언자들 (기원전 800~750)·46
16. 북이스라엘의 멸망 (기원전 750~720)·48
17. 아시리아의 속국이 된 유다 (기원전 720~670)·50
18. 유다의 종교개혁과 독립 모색 (기원전 670~620)·52
19. 유다의 멸망 (기원전 620~587/6)·54
3. 유다인들의 유배와 귀환, 재건 (기원전 587/6~330) :
구약성경의 형성과 1차 편집 시기·57
20. 유다인들의 유배생활 (기원전 587/6~540)·58
21. 페르시아 지배와 유다인들의 귀환 (기원전 540~500)·60
22. 유다 공동체의 재건 (기원전 500~430)·62
23. 오경의 형성과 새 사조의 대두 (기원전 430~330)·64
4. 헬레니즘 세계 속의 유다 (기원전 330~1) : 구약성경의 형성과 2차 편집 시기·67
24. 헬레니즘의 형성과 확산 (기원전 330~200)·68
25. 헬레니즘과 유다교의 충돌 (기원전 200~150)·70
26. 유다의 독립과 하스모네아 왕조의 수립 (기원전 150~100)·72
27. 로마의 팔레스티나 점령 (기원전 100~50)·74
28. 헤로데 대왕의 팔레스티나 통치 (기원전 50~1)·76
Ⅲ편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를 통한 하느님 말씀의 계시
1. 예수의 복음 선포와 그리스도교의 형성 (서기 1~400) :
신약성경의 형성과 경전화 시기·79
29. 그리스도 예수의 삶과 죽음, 부활 (서기 1~30)·80
30. 사도들의 복음 선포 (서기 30~50)·82
31. 이방인 선교와 1차 유다 독립항쟁 (서기 50~70)·84
32. 유다의 파괴와 그리스도교의 성장 (서기 70~132)·86
33. 복음과 정경에 대한 도전과 응답 (서기 132~200)·88
34. 박해 속에서 넓혀지고 다져지는 복음 (서기 200~300)·90
35. 복음, 로마를 넘어 땅 끝까지 (서기 300~400)·92
부록
1. 근동의 셈어 계보도·94
2. 하스모네아 왕조의 가계도·96
3. 헤로데 왕가의 가계도·97
참고문헌·98
찾아보기
1. 일반사항·100
2. 성경 구절·107
엮은이 소개
엮은이: 이용결 이용결(루카)는 1975년부터 가톨릭성서모임에서 성서공부를 시작하였고, 현재 도서출판 성서와함께에서 편집부장으로 재직중이다. 책임집필한 책으로는 《보시니 참 좋았다 - 창세기 해설서》(성서와함께, 1988), 《어서 가거라 - 출애굽기 해설서》(성서와함께, 1992), 《예수를 따라 - 마르코 복음 해설서》(성서와함께, 1998) 등이 있다.
|
기원전 10,000년부터 성서가 경전으로 자리잡은 서기 400년 까지
우리가 역사에서 말하는 구석기에서 신석기시대,
그리고 단군이 존재하지 않았던 그 시대에 이미 성경 말씀은
존재하고 있었다.
성서연대표를 펼쳤을 때 팔레스티나, 이집트, 메소포타미아, 터키,
그리스, 로마, 한국, 중국의 연대와 비교하며
생생한 성서 역사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.
참 잘 엮어 놓은 책이다. 아주 먼 옛날 성경에 나오지않는 시대, 구약 시대과 그주변 국가등 사회적 배경까지,그리고 예수님께서 돌아가신 그 이후 박해와 성장 그리고 우리나라 와 중국까지 청소년들의 역사 공부에도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